목록C# (132)
S_pot

using System; namespace _210524_001 { class Program { static void Main1(string[] args) { Cat Test1 = new Cat("1"); // 생성은 1234순이지만 소멸은 4321이다. Cat Test2 = new Cat("2"); // 이와같은 이유는 stack형이기 때문에 위쪽에 쌓여있는 것 먼저 소멸된다. Cat Test3 = new Cat("3"); Cat Test4 = new Cat("4"); }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Cat aCat; // 객체참조 변수생성: 참조대상은 Cat Type // 객체생성방법: new 사용 + 생성자호출 aCat = new Cat(); // Cat의 기본 생성..

class Smart { } class Cat { public string Name; public string Color; //생성자 실습: Cat class public Cat() // Cat class의 생성자 { Console.WriteLine("Cat class 생성자 구동"); }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Cat Test; // Cat 객체를 참조하는 참조변수 선언 Test = new Cat(); // Cat 클래스의 생성자를 이용한 // Cat 객체생성 Smart Temp; // Smart 클래스의 생성자를 만들지 않아도 오류가 나지 않는 이유는 Temp = new Smart(); // C#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주었기 때문이다. } 출력값

[F9]로 23번줄에 breaking point를 걸어주고 [F5]를 눌러 디버그모드 진입 [디버그] - [창] - [메모리]
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iNum = 100; void Smart() // 로컬함수 { Console.WriteLine($"Smart::{iNum}"); // 100출력 ++iNum; } Console.WriteLine(iNum); // 100출력 Smart(); Console.WriteLine(iNum); // 101출력 } 출력값
static void Smart(int Total, string Name, string Position) { Console.WriteLine($"우리 과정은 "); Console.WriteLine($"{Name} 과정이며"); Console.WriteLine($"현재 인원이 {Total}명이고 "); Console.WriteLine($"교육 위치는 {Position} 근처이다."); }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mart(21, "스마트 팩토리", "부산대 지하철역"); // 순서에 맞게 입력해야 한다. Smart(Name: "스마트 팩토리", Total:21, Position: "부산대 지하철역"); // 순서에 상관없이 출력가능 } static void Smart2..
out키워드 // out 키워드: 반드시 data 저장(대입)을 1번 해야함을 강제한다. // 주로 메소드 호출 시 값을 반드시 입력 받아야 할 때 // 안정장치 기법으로 활용된다. static void Smart(int Num1, int Num2, out int Num3, out int Num4) { Num3 = Num1 / Num2; // 몫 Num4 = Num1 % Num2; // 나머지 }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몫과 나머지 알아내기 int iNum1 = 17; // 피잿수 int iNum2 = 4; // 잿수 int iNum3; // 몫 int iNum4; // 나머지 Smart(iNum1, iNum2, out iNum3, out iNum4); // r..

null 조건부 연산자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T = "지옥으로 키티"; Console.WriteLine($"[{T.Length}]"); T = null; Console.WriteLine($"[{T?.Length}]"); // []: null 조건부 연산자 Console.WriteLine($"[{T ?? "널이얌1"}]"); // ??: null 병합 연산자, null값이면 [널이얌1]을 출력 T = "지옥으로 키티"; Console.WriteLine($"[{T ?? "널이얌2"}]"); } 출력값 시프트 연산자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byte bNum = 128; Console.WriteLine("bNum : " +..

using System; 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 using System.Linq; using System.Text; using System.Threading.Tasks; namespace _210520_002 { class Smart { public int Total; // Smart class의 멤버 } class Program {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mart sNum = new Smart(); // 1번 객체생성 sNum.Total = 21; Console.WriteLine($"우리반 인원 : {sNum?.Total}"); // ?: 은 해당객체가 null이면 null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뒤에 지정된 멤버를 반환 C..
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T = "비행기"; int iNum = 815; Console.WriteLine("[12345678901234567890]"); Console.WriteLine("[aaaaaaaaaaaaaaaaaaaa]"); Console.WriteLine("[{0}]", T); // 문자열 Format 방식 Console.WriteLine("[{0, 10}]", T); // 한글은 영문/숫자 두개의 크기를 차지한다. 10자리를 확보한게 맞다. Console.WriteLine($"[{T}]"); // 문자열 보간방식: $를 붙이면 문자열을 {}안에 넣을 수 있다. Console.WriteLine($"[{T,10}]"); Console.WriteLi..